2008년    노무현 대통령, 6·25전쟁 당시 울산 국민 보도 연맹 사건에 공식 사과
대한민국사 연표
1998년    발해 탐사대, ‘뗏목 항해’ 25일 만에 풍랑으로 좌절, 4명 전원 사망
대한민국사 연표
1997년    제18회 동계 유니버시아드 대회, 무주·전주에서 49개국 1,600명 참가 개막
대한민국사 연표
1989년    구정 연휴를 3일로 확정하고 명칭을 ‘설날’로 변경 확정
대한민국사 연표
1987년    천주교 정의 구현 전국 사제단, 명동성당에서 〈고문 살인의 종식을 위한 우리의 선언〉 발표
대한민국사 연표
1981년    부마 항쟁 당시 선포된 비상 계엄, 456일 만에 전면 해제
대한민국사 연표
1980년 인구·주택 센서스 결과 국내 총인구 3,744만 8,836명으로 집계
대한민국사 연표
1978년    충북 단양적성비, 진흥왕 12년(551)에 건립된 남한 최고의 비석으로 판명
대한민국사 연표
1976년    조총련계 재일 동포 구정 성묘단 1진 527명, 첫 모국 방문
대한민국사 연표
1972년    병무청, 방위 산업 부문의 정밀 기능공에 병역 특례 적용 발표
대한민국사 연표
1970년    문교부, 1970학년도 중학 진학률 85.6%라고 발표
대한민국사 연표
1968년    국방부, 전군 비상 태세령 발동
대한민국사 연표
1948년    의관 허준의 『동의보감』 목판, 전주에서 발견
대한민국사 연표
1946년    모스크바 방송, 한국의 신탁 통치 기간 미국 10년, 소련 5년 주장
대한민국사 연표
1930년    김좌진(1889~1930), 북간도 산시역 앞에서 공산주의자 박상실·김일성 등에게 암살
근대사 연표

김좌진(金佐鎭, 1889. 12.16~1930. 1.24)은 대한제국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시기의 군인으로 충남 홍성군 고도면 (현재 갈산면) 행산리에서 출생하였으며, 아버지 김형규와 어머니 이상희 사이의 3남 1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3살 때 부친을 여의었지만 넉넉한 재산으로 경제적 문제는 없었으며 모친으로부터 엄격한 교육을 받고 성장했다. 김좌진의 자는 명여(明汝)이고 호는 백야(白冶)이다. 1930년 1월24일 공산주의자 박상실에게 피살되었다.​

김좌진은 1905년 가노를 해방하고 1907년에는 고향인 홍성에서 호명 학교(湖明學校)를 설립하여 지방의 청년 자제들에게 신학문을 교육시키는 계몽 운동을 전개하며, 홍성에 대한협회 지부와 기호 흥학회(畿湖興學會)를 설립하여 활동하였다. 1908년에는 서울오성 학교(五星學校) 교감을 지냈으며, 청년학우회 회원 및 한성신보 이사로도 활동하였다.​

1910년에 일제가 조선을 강점한 후에는 이창양행(怡昌洋行)이란 무역회사를 설립하여 독립운동의 기지로 삼았다. 1915년에는 박상진(朴尙鎭)이 주도한 대한광복회에 참가하여 맹렬한 항일 활동과 군자금 모집 등에 주력하였으며, 일경에게 체포되어 서대문 감옥에서 3년간 옥고를 치렀다. 1917년 출옥, 만주로 망명하였다. 이후 1918년 음력 11월 서일, 여준, 유동열 등과 함께 "무오독립선언서(戊午獨立宣言書)"에 서명하였으며, 1919년 8월에는 정의단을 개편하여 군정부로 개편하는 한편, 북로사령부 제2연대장 겸 간북총판국(墾北總瓣局) 재무참사(財務參事)로 일하였다. 이후 동년 12월 북로군정서(北路軍政署)가 결성되자 총사령관으로서 서일을 보필하였으며, 왕청현 십리평(汪淸縣十里坪)에 사관연성소(士官鍊成所)를 설치하고 독립군 간부를 양성하는 데 힘을 기울였다.​

1920년 10월 21일, 마침내 독립군과 일본군이 청산리에서 만났다. 김좌진 장군은 백운평 골짜기에 진을 치고 숨은 뒤 일본군이 들어오길 기다렸다가 기습적으로 공격했다. 이때 일본군은 물러날 길이 좁아 우왕좌왕하다 죽거나 다치는 등 많은 피해를 입고 물러났다. 이를 시작으로 10월 21일부터 26일까지 청산리 일대에서 크고 작은 전투가 연이어 벌여졌는데, 특히 김좌진 장군의 대한군정서군은 백운평, 천수평, 어랑촌에서 큰 승리를 거두며 주력부대로 급상승했다. 청산리 전투는 독립전쟁을 승리로 이끌 수 있다는 확신과 희망을 심어주었고, 한국독립군이 벌인 전투 중 가장 대표적인 전투로 전해지고 있다.​

이후 북진을 단행하여 북만주 밀산(密山)에 도착하였으며, 10여 개의 독립군 단체가 통합, 대한 독립군단이 결성되자 부총재로 취임하였다. 1925년 3월에는 북만에서 신민부(新民府)를 창설하고 군사 부위원장 및 총사령관이 되었으며, 성동 사관학교를 세워 부교장으로서 정예 사관 양성에 심혈을 기울였다. 이 때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국무위원으로 임명했으나, 취임하지 않았다.

1927년 신민부 중앙 집행위원장에 취임하여 신민부를 통솔하며, 한인 사회의 보호에 주력하였으며, 1929년에는 신민부의 후신으로 한족 총연합회를 조직하고 무정부주의 사상에 입각한 적극적인 독립 투쟁의 전개를 위해 노력하던 과정에서 공산주의자들을 배제하고 항렬이 같은 아우뻘인 김종진 등 아나키스트 (흔히 무정부주의자로 번역되지만 아나키즘은 비단 정부뿐만이 아닌 국가, 민족주의를 넘어서 자본주의와 같은 인간을 억압하는 모든 체제를 반대하는것)들을 받아들였다.​

이에 위협을 느끼고 공산주의 선동에 방해가 된다는 이유로 1930년 1월 24일 김일성(金一星, 본명 김봉환)의 사주를 받은 고려공산청년회 회원 박상실(朴尙實, 일명 : 尙範, 金信俊)에게 길림성 해림현 산시진 도남촌(현 헤이룽장성 하이린시 산스진 다오난촌)에서 1930년 1월 24일 41살의 젊은 나이에 암살됐다.

이 때 김좌진은 "할 일이… 할 일이 너무도 많은 이 때에 내가 죽어야 하다니. 그게 한스러워서…"라는 유언을 남겼다.​

김좌진을 살해한 공산당원 박상실은 얼마 안있어 현지 경찰에 체포되었으며 당시 만주는 봉천군벌의 위세가 남아있던 시기였기에 한국인 독립운동가를 죽인 혐의로 사형이 선고된 후에는 봉천으로 이송되어 사형에 처해졌다.

1926년    조선 학생 과학 연구회, 제1회 임시 총회를 조선 교육 협회 회관에서 개최
근대사 연표
1921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이동휘 국무총리, 이승만 대통령과 의견 대립으로 사임
근대사 연표
1920년    임시정부 군무부, 전 국민에게 독립군으로서 독립 전쟁 참가 호소(포고 제1호)
근대사 연표
1913년    토지 조사국, 서울 시가지 지가 및 등급 구획 협정
근대사 연표
1908년    통감부, 삼림법 공포, 소유주의 신고제 실시로 산림 강탈(1911.6. 시행)
근대사 연표
1907년    고광순, 담양 창평 등지에서 의병을 일으킴
근대사 연표
1906년    전 참판 송병선(1836~1905), 을사조약 체결에 반발 자결 순국(1905.12.30.음)
근대사 연표
1883년    [음]부산과 나가사키 사이에 〈조일 해저 전선 부설 조약〉 체결(1884.2. 개통)
근대사 연표
1866년    [음]각 관아에 서양인과 천주교도 색출 명령, 은닉자는 처벌하겠다고 전국에 알림
근대사 연표
1834년    [음]삼영문(三營門)의 장신(將臣)에게 전염병 사망자들을 매장하게 함
조선왕조실록
1828년    [음]한양 도성 사람에 대한 침학(侵虐, 침범하여 포악하게 대함)을 엄금함
조선왕조실록
1794년    [음]교서관이 활자로 찍은 사서 삼경을 바침
조선왕조실록
1787년    [음]춘당대에 나가 문무의 정시·전시를 시행함
조선왕조실록
1782년    [음]푸줏간을 광례교 동쪽에 추가로 설치함
조선왕조실록
[음]병조와 충훈부의 아번(兒番)에게 군포 걷는 법을 폐지함
조선왕조실록
1771년    [음]사사로이 소를 도살하는 것을 엄금함
조선왕조실록
1750년    [음]《속병장도설(續兵將圖說)》을 감사와 병사에게 나누어 주게 함
조선왕조실록
1736년    [음]청나라 사신이 와서 옹정 시호를 반포함
조선왕조실록
1732년    [음]대마 도주가 도서(圖書, 왕복 문서에 내려 주던 도장)를 고쳐 줄 것을 요청함
조선왕조실록
1714년    [음]호남의 저치미(儲置米, 저축해 둔 쌀) 3,000석을 제주에 보냄
조선왕조실록
1627년    [음]정묘호란 중 평양이 함락됨
조선왕조실록
1624년    [음]이괄이 반란을 일으킴
조선왕조실록
1601년    [음]공자 위패의 명호를 지성 선사 공자(至聖先師孔子)로 바꿈
조선왕조실록
1566년    [음]개성의 유생들이 송악산 서낭당 등을 불태움
조선왕조실록
1554년    [음]전라도 영암에 흙비가 4일 동안 내림
조선왕조실록
1437년    [음]전국 각지에서 지진 발생
조선왕조실록
1429년    [음]궁궐 외의 모든 건물에 붉은색 칠을 금함
조선왕조실록
1423년    [음]사형을 3년 후에 시행하게 함
조선왕조실록
1401년    [음]도관찰출척사를 안렴사로 고침
조선왕조실록
1398년    [음]각 품의 녹과전(祿科田) 수를 늘림
조선왕조실록
1364년    [음]연주를 침략한 동녕로만호군을 최영이 격퇴함
고려사
1292년    [음]실록을 선원사에 옮김
고려사
1277년    [음]원 추밀원에서 고려인들의 무기 소지를 금지시킴
고려사
1157년    [음]행재소가 좁아도 왕이 사관을 물리치지 않음
고려사
1022년    [음]설총을 홍유후로 추증하고 묘정에 배향함
고려사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